반응형

c# 5

[C#] 실무에서 DB 연동 시 Full ORM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

https://forum.dotnetdev.kr/t/c-db/6514/9 C#에서 DB연동하는것에 대한 질문입니다.언어와 상관없이, 데이터 베이스 연동은 크게, DB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를 직접 이용하는 방법과, ORM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번의 경우,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 베이스 접속정보를 (커넥forum.dotnetdev.kr 위 게시글을 읽고 궁금증이 해결되었다.

c# 2025.02.13

c# KeepAlive 구현

1. TCP KeepAlive란 무엇인가요?1.1. 개요TCP KeepAlive는 TCP 프로토콜에서 오랫동안 데이터 통신이 없는 연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메커니즘입니다.이 기능은 운영체제의 TCP 스택에서 처리되며,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별도의 하트비트 메시지를 구현하지 않고도 연결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주요 목적:죽은 연결 감지: 상대방 호스트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거나 네트워크 문제가 발생하여 연결이 끊어졌지만,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합니다.자원 해제: 유효하지 않은 연결을 감지하여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1.2. 동작 원리KeepAlive 패킷 전송:TCP 연결에서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이 없으면 TCP 스택은 상대방에게 KeepAliv..

c# 2024.09.23

[WPF/WINUI3] stackpanel in datagrid speed

스택 패널 내부에 데이터그리드를 사용할 시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 StackPanel의 레이아웃 특성StackPanel은 자식 요소들을 한 줄로 나란히 배치하는 간단한 컨테이너입니다. StackPanel은 Orientation 속성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자식 요소들을 배치합니다. 중요한 것은 StackPanel이 자식 요소들을 배치할 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는 것입니다:모든 자식 요소 측정: StackPanel은 모든 자식 요소를 한 번에 측정합니다. 이는 StackPanel이 모든 자식 요소의 크기를 알아야만 배치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고정된 크기: StackPanel은 자식 요소들의 크기에 따라 자신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내부에 있는 모든 자식 요소가 실제로 화면에 렌더링됩니..

c# 2024.05.26

IIS blazor 배포하기 (web deploy 3.6)

1.윈도우 서버 설치 2.윈도우 서버 서버관리자에서 DNS, IIS (관리도구 포함) 기능 추가로 설치 3.윈도우 서버에 web deploy 설치 https://www.iis.net/downloads/microsoft/web-deploy 4.윈도우 서버 IIS 서버에서 관리서비스 - 원격연결 사용 (서버관리자 기능 추가로 iis 관리도구가 설치 완료 되어야함.) 5.윈도우 서버 IIS 사이트 추가하고 배포 설정하기 (사이트 오른쪽 클릭 - 배포 - 배포설정 후 닫기) 6.윈도우 서버에 dot net runtime 설치 https://www.microsoft.com/net/download/all 7.visual studio 에서 블레이저 서버 프로젝트 생성 8.visual studio 에서 프로젝트 오른쪽..

c# 2022.09.13

c# sql 연동

c# sql 연결하는 법 nuget 패키지 로 system.data.sqlclient 를 설치하여 프로젝트에 참조시킨다. using system.data.sqlclient              string strConn = "Data Source=IP,port;Initial Catalog=DataBase;User ID=id;Password=pw";            SqlConnection sqlConn = new SqlConnection(strConn);            sqlConn.Open();            SqlCommand myCommand = new SqlCommand();            myCommand.Connection = sqlConn;            myCom..

c# 2022.04.07
반응형